정종배 시

항일 저항시의 근간은 관동대학살이다

정종배 2023. 8. 9. 06:54

항일 저항시의 근간은 관동대학살이다

관동대지진을 형상화한 작품은 일본에서 ‘재해문학’으로 포괄하고 있지만
한국인의 작가가 쓴 시와 소설은 일본 작가와 다를 수밖에 없다
일본인에게 관동진재는 자연재해였지만
대학살 피해자인 한국인에게는 민족과 인종과 타국민의 갈등이 분출한
공소시효가 적용되지 않는 제노사이드이기 때문이다
항일문학 저항시의 근간은 관동대지진 조선인 대학살이라 하여도 지나치지 않을 만큼 그 당시 참상을 목격하거나 관련된 문인은

시인 김소월·이상화(애족장, 문화운동)·김동환(친일, 문학)·김영랑(건국포장, 국내항일)·박용철·유치환·유치상·장정심·고한용
소설가 이기영·채만식(친일, 문학)·한설야·정우홍·이익상(친일, 언론)·정연규
수필가 이양하·김소운, 극작가 유치진(친일, 연극)·이서구(친일, 연극)·조준기
아동문학가 최신복(친일, 언론) 평론가 김문집(친일, 문학), 불문학자 손우성, 비교문학 이하윤 등은 대부분 유학생으로 참상을 목격했다

김기림·김말봉·김영진·박승희·손진태·정지용·진장섭·한식·김두용·김희명·최현배(독립장, 문화운동)·김상용(친일, 교육학술) 등은 당시 현지에 있었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양주동·이장희·유엽 등은 방학 중 귀국하여 일본으로 돌아가지 못하였다
일본에서 기획했던 근대문학사 최초의 본격적 시 전문지 《금성》을 백기만·손진태·이상백(애족장, 3·1운동) 등과 1923년 11월 10일에 창간했다

김소월은 한 달 동안 연락이 두절 되어 가족들이 죽었다고 포기했다
신석정 시인 형님 신석갑과 사촌 매형 소설가 정우홍·이익상
소설가 신석상 아버지 신기형도 동경 유학생이었다
윤동주(독립장, 학생운동) 시인 아버지 윤영석도 참상을 목격한 뒤
명동촌에 무사하다는 전보를 치고 급히 귀국했다
시인 구상의 맏형인 구원준도 지진 이후 행방불명 됐다
시인 홍사용의 19살 아래 막내동생으로 왕족을 제외하고
한국인으로 유일한 일본군 육군대학 출신인 홍사익(친일, 군)도 참상을 목격했다

이육사(애국장, 의열투쟁) 시인은 대학살
다음 해 4월부터 1925년 1월까지 동경에 유학하였다
강기덕(독립장, 국내항일)의 도움으로 시인 김동명은
1925년 일본 청산학원 신학과를 입학하여 일본대학 철학과를 수학했다
염상섭은 도쿄에서 양주동 나도향 등과 지냈으며 소설 「숙박기」(1928)를 썼다
1927년 1월에 동경에 온 김용제(친일, 문학)와
3월에 도쿄고등사범학교 영문과에 입학한 백철(친일, 문학)은
제노사이드 참상을 고발하는 시를 일본어로 써서 발표했다

관동대지진 조선인 대학살 제노사이드가 대한민국 근현대문학사의 분기점으로
파스큘라(PASKYULA)와 카프(KAPF) 등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기폭제다

정종배 다큐시집
1923 관동대학살 - 생존자의 증언

'정종배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종배 다큐시집 1923 관동대학살 -생존자 증언  (0) 2023.08.22
진관사 국행 수륙재학교 입학식  (0) 2023.08.20
하지  (0) 2023.06.26
헛꽃  (0) 2023.05.20
방앗잎  (0) 2023.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