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우리공원(인문학)

금연의 날 망우리공원 조봉암 박인환

정종배 2020. 5. 26. 21:53

박인환은 통속을 혐오하고, 원고 쓸 때는 구두점 하나에도 신경질적으로 까다롭게 굴고, 싫어하는 사람과는 차도 한 잔 함께 마시지 않는 결벽증을 드러냈다. 수주(樹州) 변영로(卞榮魯)가 금주를 선언하자 그를 찾아가 술을 마시지 못하는 사람은 선배 자격이 없다며, 앞으로는 ‘선생’ 자를 떼겠다고 으름장을 놓기도 했다.

 

낭만과 우수에 젖은 명동거리를 누비며 시대를 앞서가는 시를 쓰고 자유분방한 삶을 살던 천재 시인 박인환은 1956년 3월 20일 밤 9시에 세상을 떠난다.

 

그가 명동의 ‘경상도집’에서 송지영, 김광주 등과 어울려 막걸리를 마시며 '세월이 가면'을 써낸 지 일주일이 지난 뒤였다.

훤칠한 키에 용모가 수려한 박인환은 당대 문인 중에서 최고의 멋쟁이, ‘댄디보이’였다. 서구 취향에 도시적 감성으로 무장한 그는 시에서도 누구보다 앞서간 날카로운 모더니스트였다. 그는 여름에도 곧잘 정장을 차려 입고 나타나서는, “여름은 통속이고 거지야. 겨울이 와야 두툼한 홈스펀 양복도 입고 바바리도 걸치고 머플러도 날리고 모자도 쓸 게 아니냐?”라고 불평을 하곤 했다.

 

명동의 술집 마담들도 늘 외상술을 마시는 미남자 박인환을 차마 미워하지 못했다. “또 외상술이야?” “어이구, 그래서 술을 안 주겠다는 거야?” “내가 언제 술을 안 주겠다고 했나?” “걱정 마. 꽃피기 전에 외상값 깨끗하게 청산할 테니까.” 시인은 늘 호주머니가 비어 있었지만 한 점의 비굴함도 없이 그렇게 당당하고 거침이 없었다.

 

6·25 전란으로 폐허가 되었다가 차츰 복구되어 제 모습을 찾아가던 1956년의 이른 봄. 명동 한 모퉁이에 자리한 막걸리를 주로 파는 ‘경상도집’에 박인환을 비롯해 송지영, 김광주, 김규동 등의 문인들이 모여 술잔을 기울이고 있었다. 마침 그 자리에는 가수 나애심도 함께 있었다. 몇 차례 술잔이 돌고 취기가 오르자 일행은 나애심에게 노래를 청하였다. 그러나 나애심은 마땅한 노래가 없다고 청을 거절했다. 이때 박인환이 호주머니에서 종이를 꺼내더니 즉석에서 시를 써내려갔다. 이어 완성된 시를 이진섭에게 넘겼고, 이진섭은 단숨에 악보를 그려갔다. 나애심이 그 악보를 보고 노래를 불렀다. 그 노래가 바로 '세월이 가면'이다.

 

한두 시간 후 나애심과 송지영은 돌아가고 테너 임만섭, 소설가 이봉구 등이 새로 합석을 했다. 임만섭이 이 노래를 정식으로 다듬어서 부르자 지나가던 행인들이 모두 이 술집 문 앞으로 모여들었다. 아주 기이한 음악회가 열린 것이다. 술집에서 대폿잔을 기울이면서 아름다운 시를 쓰고 작곡을 하며 노래를 부르는 사람들... 그리고 그들을 지켜보며 박수를 보내는 관객들. 그것은 마치 낭만적인 영화의 한 장면 같기도 했다. 이후 박인환의 '세월이 가면'은 여기저기서 사람들에 의해 흥얼거려졌다. 그리고 마치 명동의 골목마다 스며있는 외로움과 회상을 담고 있는 듯한 이 노래는 ‘명동 엘리지’라고도 불리었다.

지금 그 사람 이름은 잊었지만
그의 눈동자 입술은
내 마음에 있어

바람이 불고
비가 올 때도
나는 저 유리창 밖
가로등 그늘의 밤을 잊지 못하지

사랑은 가도
과거는 남는 것
여름날의 호숫가
가을의 공원
그 벤치 위에
나뭇잎은 떨어지고
나뭇잎은 흙이 되고
나뭇잎에 덮여서
우리들 사랑이 사라진다 해도

지금 그 사람 이름은 잊었지만
그의 눈동자 입술은
내 가슴에 있어
내 서늘한 가슴에 있건만

 

 


이상(李箱)을 유별나게 좋아한 그는 이상의 기일(忌日)인 3월 17일 오후부터 주변 사람들과 함께 이상을 추모하며 폭음을 하였다. 이날부터 사흘 동안 매일 술을 마셨다. 그로부터 사흘 뒤 밤 9시에 만취상태로 세종로의 집에 돌아온 그는 가슴을 쥐어뜯으며 “답답해! 답답해!”를 연발했다. 그러다가 자정 무렵 “생명수를 달라!”는 부르짖음을 마지막 말로 남기고 눈을 감았다. 갑작스런 심장마비였다. 그의 나이 불과 삼십 세였다.

박인환의 갑작스런 죽음에 놀라 21일 새벽 그의 집으로 모여든 친구들은 차디찬 방에 눈을 치뜬 채 꼿꼿이 누워있는 그의 시신을 망연히 바라보았다. 그 치뜬 눈을 감겨준 것은 송지영이었다. 또 다른 친구가 그의 시신에 위스키 ‘조니 워커’를 따라주었다. 그의 시신이 시인장(詩人葬)으로 망우리에 묻힐 때 지인들은 그가 좋아했던 조니 워커와 카멜 담배를 함께 묻었다. 그 자리에서 시인 모윤숙이 고인의 시를 낭송하였고 친구인 시인 조병화가 조시(弔詩)를 읽었다.

"인환이 너 가는구나
대답이 없이 가는구나
너는 누구보다도 멋있게 살았고
멋있는 시를 쓰고..."

 

2년뒤 민심을 잃을 대로 잃은 이승만과 자유당은 56년 대선을 치루게 됩니다.

자유당은 이승만을 대통령, 부통령에 이기붕을 후보로 내세웠고 민주당은 대통령 신익희, 부통령은 장면을 후보로 내세웠습니다. 하지만 신익희 후보가 호남지방으로 유세가던 중 열차 안에서 뇌일혈(또는 심장마비라고도 합니다)로 급사하자 대선은 자유당의 이승만과 무소속의 조봉암의 대결이 됩니다.

대선이 시작되자 이승만은 70%에 가까운 득표율로 대통령에 당선되고 부통령은 민주당의 장면이 당선됩니다.

하지만 놀라운건 조봉암의 30% 득표율이였고 이승만 은 이를 경계해 1958년 평화통일을 주장했던 조봉암을 빨갱이라 모함하여 진보당사건을 일으키고

1년뒤 1958년 7월 31일 조봉암은 서대문 형무소 에서 사형집행 5분전 막걸리 한 잔과 담배 한 대 피고 싶다고 하였으나 막걸리는 마시고 못하고

간수가 전해 준 담배 한 가치를 피고 형장의 이슬로 사라진다.

 

조봉암 사형 집행 시각인 11시에 맞춰 추모식이 거행된다.

 

한여름 밤 죽산의 묘역 앞에 막걸리 한 잔 마시며 죽산의 뜻과 꿈을 되새기는 일도 의미가 있다고

지인들과 몇 번 해 보았다.

 

 

 

                                                     형을 집행 받고 있는 조봉암